카테고리 없음
Python 자료형과 문자열 개념 정리| 줄바꿈, Tab 방법
이찰리
2022. 8. 25. 15:32
반응형
#자료형 (자료를 의미있게 정리하면 정보가 됩니다.)
#기본자료형
#문자열 string
"안녕"
"hi"
type(자료)
type ("안녕")
#숫자
10 #정수 integer
99.987 #실수 float
type (89)
type (89.394)
#불 (참, 거짓) bool
True
False
type (True)
Console 창에 입력하면 calss 함수와 함께 어떤 type 인지 알 수 있습니다.
Console 창에서 입력하지 않을 때는 print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.
#문자열
#문자열 안에 문자열은 세 가지 방법 중 선택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.
print ("'안녕'이라고 말했습니다.")
print ('"안녕"이라고 말하지 않았습니다.')
print ("\"안녕\"이라고 생각했습니다.")
print ()
#\n 줄바꿈, \t 탭문자 \\ 역슬래시 자체를 의미합니다.
print ("안녕\n하세요.")
print ("안녕\t하세요.")
print ("\\ \\ \\")
print ()
#"""\ 는 줄바꿈을 하지 않는 다는 뜻입니다. 코드적으로만 표시하는 것입니다.
#"""는 줄바꿈이 생깁니다.
print ("""\
여러줄 문자열
입니다.
큰 따옴표
세 개에요.\
""")
#print 도 됩니다.
print\
(1,2,3)
출처 - 윤인성 혼공파 유튜브 강의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