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전에 짧게 포스팅했던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정책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려 한다. 작년에는 상하반기 모두 모집했었는데 올해는 4월에 모집 후 또 언제 모집할지는 모른다. 그러니 신청할 사람은 미리미리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유용할 것 같다. 또한 서울시 외에 국토교통부에서도 월세 지원 사업이 있어 같이 포스팅한다.
※ 참고로 정부 사업과 지자체 사업은 중복 신청할 수 없고 생애 1회만 지원받을 수 있다.
|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이란 (22년 4월에 모집 예정!)
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의 주거비 부담 완화와 주거 수준 향상을 위한 복지 사업으로 1달에 최대 월세 20만 원을 지원해준다. 최대 10개월로 최대 200만 원 지원받을 수 있으며 생애 1회 지급 가능하다. 20만 원 미만 월세는 실제 월세 금액까지만 지원받을 수 있다.
|지원자격
해당 사업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지원자격이 갖춰줘야 한다.
-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~ 만 39세 청년이어야 한다.
-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이고 월세 60만 원 이하 건물에 월세로 거주하는 무주택자여야 한다.
- 가구원 수당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인 청년 1인 가구
21년 선정기준 표
|국토교통부 월세 지원 사업이란
무주택 청년의 월세 지원사업으로 약 15만 명의 청년을 월세 지원하고 있다. 월 20만 원 한도로 최장 12개월간 지원된다.
|지원자격
1. 독립하여 혼자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이어야 한다.
2. 본인 소득 중위소득 60% 이하이고, 부모포함 가구 기준 중위 소득이 100% 이하여야 한다.
세부 가이드는 공개 예정이다.
그렇다면 우리나라 가구 중위소득은 얼마일까? 아래 표로 준비했다.
즉, 우선 본인 소득이 1,166,997 원 이하여야 한다.
국토교통부 월세 지원 사업이 2달 더 월세 지원을 해주지만 중위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점이 있다. 꼼꼼하게 살펴보고 자신의 기준에 맞는 사업을 지원하여 월세를 지원받기를 원한다.
참고로 월세는 세액공제와 소득공제의 2가지 방법으로 조금이나마 돌려 받을 수 있다. 그건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어 보겠다.
'Daily Mem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제페토'로 보는 무한 가능성 메타버스 공간 (0) | 2022.03.16 |
---|---|
월세 세액공제와 소득공제 차이점/기준/ 공제율 정리! (0) | 2022.03.15 |
영등포 타임스퀘어 갤럭시S22 전시관 후기 및 이용 꿀팁! (2) | 2022.03.10 |
'연9% 이자' 2022 청년희망적금 내용 정리 (미리보기, 자격, 이율, 은행 등) (0) | 2022.02.08 |
서울대입구 샤로수길 카페_데일리 오아시스 솔직후기(내돈내먹) (2) | 2022.02.06 |